Friday, August 17, 2012

소시오패스의 특징

소시오패스의 특징 1. 양심과 책임감이 결여되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2. 자기성공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는 것이 능숙하다. 3. 약속을 깨는 일이 빈번하다. 4. 말, 특히 거짓말을 잘해서 자신의 성격을 카리스마와 리더십으로 위장한다. 5. 친구나 동료 사이에 이간질로 갈등을 일으킨다. 6. 개인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집단의 위험도 감수한다. 7. 자기 잘못이 들통날 결우 동정심에 호소한다. 8. 매사에 냉정하고 타인의 말에 공감하지 않는다. 9. 연애경험이 많은데 비해 기간이 짧다. 10. 범죄적인 재능을 타고 났거나 어린시절 잔인한 취미가 있었다.

Saturday, April 07, 2012

Erica Goldson – AMAZING VIDEO! High School Valedictorian Questions Government Schooling, and then some…



Coxsackie-Athens High School Valedictory Speech 2010 לנאום בתרגום לעברית, לחצו כאן. Here I StandErica Goldson There is a story of a young, but earnest Zen student who approached his teacher, and asked the Master, "If I work very hard and diligently, how long will it take for me to find Zen? The Master thought about this, then replied, "Ten years." 
The student then said, "But what if I work very, very hard and really apply myself to learn fast - How long then?" Replied the Master, "Well, twenty years." "But, if I really, really work at it, how long then?" asked the student. "Thirty years," replied the Master. "But, I do not understand," said the disappointed student. "At each time that I say I will work harder, you say it will take me longer. Why do you say that?" 
Replied the Master, "When you have one eye on the goal, you only have one eye on the path." This is the dilemma I've faced within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We are so focused on a goal, whether it be passing a test, or graduating as first in the class. However, in this way, we do not really learn. We do whatever it takes to achieve our original objective. Some of you may be thinking, “Well, if you pass a test, or become valedictorian, didn't you learn something? Well, yes, you learned something, but not all that you could have. Perhaps, you only learned how to memorize names, places, and dates to later on forget in order to clear your mind for the next test. School is not all that it can be. Right now, it is a place for most people to determine that their goal is to get out as soon as possible. I am now accomplishing that goal. I am graduating. I should look at this as a positive experience, especially being at the top of my class. However, in retrospect, I cannot say that I am any more intelligent than my peers. I can attest that I am only the best at doing what I am told and working the system. Yet, here I stand, and I am supposed to be proud that I have completed this period of indoctrination. I will leave in the fall to go on to the next phase expected of me, in order to receive a paper document that certifies that I am capable of work. But I contest that I am a human being, a thinker, an adventurer – not a worker. A worker is someone who is trapped within repetition – a slave of the system set up before him. But now, I have successfully shown that I was the best slave. I did what I was told to the extreme. While others sat in class and doodled to later become great artists, I sat in class to take notes and become a great test-taker. While others would come to class without their homework done because they were reading about an interest of theirs, I never missed an assignment. While others were creating music and writing lyrics, I decided to do extra credit, even though I never needed it. So, I wonder, why did I even want this position? Sure, I earned it, but what will come of it? When I leave educational institutionalism, will I be successful or forever lost? I have no clue about what I want to do with my life; I have no interests because I saw every subject of study as work, and I excelled at every subject just for the purpose of excelling, not learning. And quite frankly, now I'm scared. John Taylor Gatto, a retired school teacher and activist critical of compulsory schooling, asserts, “We could encourage the best qualities of youthfulness – curiosity, adventure, resilience, the capacity for surprising insight simply by being more flexible about time, texts, and tests, by introducing kids into truly competent adults, and by giving each student what autonomy he or she needs in order to take a risk every now and then. But we don't do that.” Between these cinderblock walls, we are all expected to be the same. We are trained to ace every standardized test, and those who deviate and see light through a different lens are worthless to the scheme of public education, and therefore viewed with contempt. H. L. Mencken wrote in The American Mercury for April 1924 that the aim of public education is notto fill the young of the species with knowledge and awaken their intelligence. ...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The aim ... is simply to reduce as many individuals as possible to the same safe level, to breed and train a standardized citizenry, to put down dissent and originality. That is its aim in the United States. (Gatto) To illustrate this idea, doesn't it perturb you to learn about the idea of “critical thinking.” Is there really such a thing as “uncritically thinking?” To think is to process information in order to form an opinion. But if we are not critical when processing this information, are we really thinking? Or are we mindlessly accepting other opinions as truth?This was happening to me, and if it wasn't for the rare occurrence of an avant-garde tenth grade English teacher, Donna Bryan, who allowed me to open my mind and ask questions before accepting textbook doctrine, I would have been doomed. I am now enlightened, but my mind still feels disabled. I must retrain myself and constantly remember how insane this ostensibly sane place really is. And now here I am in a world guided by fear, a world suppressing the uniqueness that lies inside each of us, a world where we can either acquiesce to the inhuman nonsense of corporatism and materialism or insist on change. We are not enlivened by an educational system that clandestinely sets us up for jobs that could be automated, for work that need not be done, for enslavement without fervency for meaningful achievement. We have no choices in life when money is our motivational force. Our motivational force ought to be passion, but this is lost from the moment we step into a system that trains us, rather than inspires us. We are more than robotic bookshelves, conditioned to blurt out facts we were taught in school. We are all very special, every human on this planet is so special, so aren't we all deserving of something better, of using our minds for innovation, rather than memorization, for creativity, rather than futile activity, for rumination rather than stagnation? We are not here to get a degree, to then get a job, so we can consume industry-approved placation after placation. There is more, and more still. The saddest part is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don't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as I did. The majority of students are put through the same brainwashing techniques in order to create a complacent labor force working in the interests of large corporations and secretive government, and worst of all, they are completely unaware of it. I will never be able to turn back these 18 years. I can't run away to another country with an education system meant to enlighten rather than condition. This part of my life is over, and I want to make sure that no other child will have his or her potential suppressed by powers meant to exploit and control. We are human beings. We are thinkers, dreamers, explorers, artists, writers, engineers. We are anything we want to be - but only if we have an educational system that supports us rather than holds us down. A tree can grow, but only if its roots are given a healthy foundation. For those of you out there that must continue to sit in desks and yield to the authoritarian ideologies of instructors, do not be disheartened. You still have the opportunity to stand up, ask questions, be critical, and create your own perspective. Demand a setting that will provide you with intellectual capabilities that allow you to expand your mind instead of directing it. Demand that you be interested in class. Demand that the excuse, “You have to learn this for the test” is not good enough for you. Education is an excellent tool, if used properly, but focus more on learning rather than getting good grades. For those of you that work within the system that I am condemning, I do not mean to insult; I intend to motivate. You have the power to change the incompetencies of this system. I know that you did not become a teacher or administrator to see your students bored. You cannot accept the authority of the governing bodies that tell you what to teach, how to teach it, and that you will be punished if you do not comply. Our potential is at stake. For those of you that are now leaving this establishment, I say, do not forget what went on in these classrooms. Do not abandon those that come after you. We are the new future and we are not going to let tradition stand. We will break down

영혼의 사자후가 된 미국 고교 졸업생 연설문

지난 6월 25일, 미국의 Coxsackie-Athens 고등학교 졸업식에서 있었던 졸업생대표 Erica Goldson 양의 졸업 연설 내용입니다.18살이라는 나이가 놀랍습니다.그녀의 메시지 만큼이나..어찌됐든 일단 한번 읽어 보시길...영어가 되시면 아래 유튜브 동영상으로 감상하셔도 됩니다. (참고로 연설문의 한글번역은 블로거 '윤민님'께서 해 주셨습니다.글 복사가 되지 않아 제가 다시 타이핑 해 사용함을 밝힙니다.) © The Daily MailThe 2010 Graduating Class of Coxsackie-Athens High School. http://www.bspcn.com/2010/08/01/the-best-high-school-valedictorian-speech/ [ 졸업 연설문 ] 예전에 선(仙)을 공부하는 수도자가 있었는데, 하루는 스승을 찾아가 이렇게 물었다고 합니다 : "제가 지금부터 열심히 노력하면 도를 깨우치는 데 얼마나 걸리겠습니까?" 스승은 곰곰이 생각한 후, "10년 정도?"라고 대답했습니다. 제자가 다시 물었습니다 : "제가 빨리 깨우침을 얻기 위해 진짜 많이 노력하면 얼마나 걸리까요?" 그러자 스승은 "그렇다면 20년 정도 걸리겠군" : 제자가 또 물었습니다 : "제가 진짜, 진짜, 무진장 노력하면 어떨까요?" 스승은 이 질문에 대해 "30년"이라고 묵묵히 대답했습니다. 실망한 제자가 다시 물었습니다 :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열심히 노력할수록 오래 걸린다니요? 왜 그런 말씀을..." 그러자 스승이 말했습니다 : "하나의 목표를 세워 놓고 정진하면, 하나의 길만 바라보며 걸어야 하기 때문이니라..." 저도 미국의 교육 시스템을 직접 체험하면서 비슷한 딜레마에 부딪혔습니다. 우리 학생들은 시험이니, 석차니, 모두들 어떤 목표를 세워 놓고 학습에 임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진정한 배움을 얻을 수 없습니다. 단지 목표 달성만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노력할 뿐이니까요. 아마 이런 생각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 "아니, 시험도 무사히 통과하고 졸업생 대표까지 맡게 되었으면 뭔가 배웠을 거 아니냐?". 네, 뭔가 배우긴 했겠죠. 하지만 잠재력을 발휘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유명한 사람들의 이름, 지명, 역사적인 사건의 발생일자 같은 것들을 외우고, 시험이 끝나면 또 다음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머리 속에 입력된 지식을 지우고...학교 역시 제 역할을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 대부분의 학생들은 "최대한 빨리 이 곳에서 벗어나자"라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실정입니다. 저는 이제 그 목표의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번에 졸업하거든요. 게다가 수석이라는 영예까지 얻었으니, 즐거워해야 마땅할 것입니다.하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제가 동기생들보다 더 똑똑하다고 결코 얘기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저 시스템이 요구하는 것들을 잘 해냈을 뿐입니다. 그리고 지금, 학교의 세뇌 프로그램을 충실하게 이행했다는 공로로 이 자리에 서 있습니다. 이걸 자랑스러워 해야 하는 것입니까? 이제 가을이 오면 저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제가 직장에 들어가서도 일을 잘 할 수 있다는 증서(대학 졸업장)을 따내기 위해 말입니다. 하지만 저는 일꾼이기 이전에 하나의 인간, 사고하는 인간, 그리고 모험을 하고 싶은 인간입니다. 일꾼이라는 것은 반복적인 일을 수행하는 사람을 일컫습니다. 시스템이 준비해 놓은 체제에서 노예처럼 일하는 사람말입니다. 저는 이 노예들 중에서도 최고라는 사실을 인정받았습니다. 저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일들을 아주 잘 해냈습니다. 수업시간에 경청하지 않고 노트에 그림 연습을 했던 동기생들은 나중에 위대한 화가가 될 지도 모르지만, 수업시간에 열심히 필기를 한 저는 어느 누구보다 시험을 잘 치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방과 후 자신이 읽고 싶은 책들을 읽느라 바빴던 동기생들은 다음 날 숙제를 해오지 못해 혼났지만, 저는 한 번도 숙제를 빼먹은 적이 없습니다. 다른 친구들이 작곡과 작사에 열중하는 동안 저는 학과 점수를 조금이라도 더 따기 위한 특별활동까지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굳이 그럴 필요까지도 없었는데 말이죠. 그래서 지금은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내가 왜 수석이 되기 위해 그리도 발버둥을 쳤을까? 네, 물론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대가이긴 합니다만,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제가 고등교육을 마치고 나면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 아니면 영원히 헤매게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 인생을 앞으로 어떻게 설계해야 할 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특별한 관심분야도 없어요. 저는 학교에서 배운 모든 분야에서 남보다 앞서 나갔습니다. 하지만 그 분야를 배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들보다 더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매달렸던 것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저는 지금 두렵습니다. 교육학자인 John Taylor Gatto씨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 "수업시간, 교과목, 시험 같은 것들을 보다 덜 엄격하게 관리하고, 학생들에게 뛰어난 스승들을 붙여 주고, 학생들에게 자율을 허용하고 때로는 모험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가르치면 젊음의 특권이라고 할 수 있는 호기심, 모험심, 활력을 얼마든지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는게 문제다". 시스템은 우리 학생들이 모두 똑같아지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표준화된 시험을 통과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고 있으며, 학교가 정한 룰에서 벗어나 색다른 시각을 가지는 학생들은 실패한 자들로 평가되고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H.L Mencken은 1924년 4월, The American Mercury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 " 공교육의 목적은 젊은이들에게 지식을 제공하고 지적 잠재력을 일깨워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공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가급적 많은 학생들을 안전한 수준으로 획일화시키고, 모범 시민이 될 수 있도록 훈련시키고, 불만의 요소들을 제거하고, 개성을 없애는 것이다. 이게 바로 미국 공교육의 목적이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다들 "비판적 사고"를 해야 한다고들 강조하는데, 그렇다면 비판적이지 않은 사고도 존재한다는 겁니까? 사고라는 것은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적인 의견을 형성한다는 뜻입니다.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걸 진정한 사고라고 할 수 있습니까? 단지 남의 의견을 진실로 받아들이는 행위에 불과한 것 아닙니까? 저도 이런 식으로 남의 의견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면서 살아 왔습니다. 하지만 10학년 때 Donna Bryan 선생님을 만나면서부터 사고의 폭을 넓히고, 남의 말을 무조건 받아들이기 전에 스스로 질문해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Bryan 선생님을 알게 되지 못했더라면...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저는 예전에 비해 많이 깨어났지만, 아직도 제 정신은 약하게 느껴집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라는 곳이 겉으로 보이는 것과는 달리, 얼마나 정신 나간 곳인지 매일매일 스스로에게 다짐해야 합니다. 저는 이제 두려움이 지배하고 있는, 우리 모두가 간직하고 있는 개성을 억누르는 세상 속으로 몸을 던져야 합니다. 기업과 물질주의가 요구하는 비인간적인 난센스에 순응하거나, 아니면 변화를 요구하거나, 둘 중 하나의 길을 택해야 합니다. 나중에 자동화될 수도 있는 일, 불필요한 일, 열정도 없고 의미도 없는 노역과도 같은 일을 하도록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교육 시스템은 우리에게 열정을 불어넣을 수 없습니다. 돈이 동기부여가 되는 입장에서는 선택의 여지도 없습니다. 열정이 동기부여가 되어야 하지만, 우리를 격려하기 보다는 훈련시키려고만 하는 시스템에 발을 들이는 순간부터 열정은 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학교에서 주입 받은 내용들을 자동적으로 내뱉도록 훈련된 로봇이 아닙니다.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은 특별합니다. 우리 모두 이보다는 더 나은 취급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닙니까? 암기보다는 혁신을, 쓸모 없는 일보다는 창의성을, 정체보다는 숙고를 위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닙니까? 우리는 단지 졸업장을 받고, 취직을 하고, 업계에서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반복적인 소비를 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학교를 다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보다 더 많은 것을 필요로 합니다. 가장 슬픈 것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저처럼 현실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업과 정부로부터 권위에 순종하는 사회의 일꾼들이 되기 위한 세뇌교육을 충실하게 받고 있으며, 이 사실을 자각하지도 못합니다. 제가 살아온 지난 18년을 되돌릴 수는 없습니다. 보다 나은 교육 시스템을 가진 나라로 도망가서 다시 배울 수도 없습니다. 제 유년 시절은 이미 막을 고했고, 다음 세대의 아이들이 저랑 똑같이 권력을 가진 자들의 손에 놀아나 잠재력을 억압당하는 일을 당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우리는 인간입니다. 우리는 철학자이고, 꿈꾸는자이고, 탐험가이고, 예술가이고, 작가이고, 엔지니어입니다. 우리 모두 꿈을 이룰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꿈 실현을 위해 돕기보다는 억압하는 교육 시스템만 없다면 말이죠. 나무가 무성하게 자리가 위해서는 뿌리가 땅속에 깊게 박혀 있어야 하는 법입니다.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서 교육 시스템의 요구에 순응해야 하는 입장에 처해 있는 후배들도 절망하지 마세요.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이라도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하고, 자신의 관점을 가지기위해 노력하세요. 자신의 지적 능력이 학교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쓰이기보다는, 지적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것을 요구하세요.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이걸 공부해야 해"라는 변명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얘기하세요. 교육이라는 것은 잘 활용하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적을 올리기 보다는 배움을 위한 목적으로 공부를 하세요. 제가 지금까지 비판한 시스템 안에서 일하고 있는 분들은 제 얘기에 기분 나빠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을 욕하려는게 아니라 동기를 부여하려고 하는 말이니까요. 여러분들은 이 무능한 시스템을 변화시기키 위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학생드리 교실에서 지루해하는 모습을 보기 위해 교육자의 길을 선택한 것은 아니잖아요. 여러분들도 위에서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무엇을 가르치라고 지시하는 것과, 명령에 복종하지 않을 경우 벌을 받게 되는 현실에 대해 진저리를 치고 계시잖아요. 젊은이들이 장차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입니다. 이제 곧 시스템을 떠나시는 동기생들에게는, 지난 몇 년 간 교실내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지 잊지 않기를 당부합니다. 여러분들의 후배들을 외면하지 마세요. 우리는 세상의 미래이며, 잘못된 전통을 고수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부정부패의 벽을 허물고 미국 내에 새로운 지식의 정원을 가꿔나갈 것입니다.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교양과 지혜로 무장한 우리는 이 힘을 좋은 용도로만 쓸 것입니다. 우리는 표면적인 것만 보고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악습을 타파할 것입니다. 우리는 계속 질문을 하고, 진실을 요구할 것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 제가 섰습니다. 저 혼자서 졸업생들을 대표하여 이 자리에 선 게 아닙니다. 제 주변 환경, 그리고 지금 저를 바라보고 있는 모든 동기생들이 오늘의 저를 만들었습니다. 여러분들이 없었더라면 제가 지금 이 위치에 서 있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여러분들 덕택에 지금의 제가 있게 되었습니다. 저는 여러분들과 경쟁했지만, 여러분들은 제 피와 살이나 다름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 모두가 졸업생 대표입니다. 이제 이 학교, 학교를 운영하는 모든 분들, 그리고 후배들에게 작별을 고해야 합니다. 하지만 영원한 작별이 아니고 "다음에 또 보자"는 인사입니다. 우리가 함께, 진정한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나기기 위해서 다시 만나야 하니까요. 하지만 일단은, 우리에게 그럴 만한 능력이 있다고 인증하는 종이 쪼가리부터 받도록 하겠습니다!

Sunday, December 11, 2011

자신의 핸드폰 번호를 상대방에게 발신번호표시 제한으로 표시되게하기

*23# 을 누른후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상대방에게 내번호가 표시가 되지않고 발신번호 표시제한이라고 표시됩니다.

발신자제한표시 설정

1.상대방에게 내번호 안뜨게 하려면

휴대폰에서는

*23# + 상대방 전화 번호 + ☎

일반전화에서 악용하면 큰일납니다.

169 + 상대방 전화 번호 + ☎

요즘 발신자 표시제한으로 전화들 많이 오시죠? 저도 짜증나도록 오네요~


발신번호표시제한 추적방법

1.일반전화기로 발신지 전화번호도 없이 걸려올 때

먼저 "요즘 이런 전화가 밤낮으로 자꾸 걸려와 피곤해서 못살겠다"며 전화국에 신청하시고
그 후에 그런 전화가 걸려오면

*버튼을4초가량 누르고
상대방이 스스로 전화를 종료한 후
10초정도 지난 후에
그 즉시 바로
155번으로 전화를 걸어 문의를 하면 상대방 전화번호를 바로 알 수 있겠습니다

2.휴대폰으로 발신자번호표시 없이 걸려올 때

휴대폰으로 114를 누르시면 (각 이동통신 고객센터) 연결됩니다.

낮에 상담원에게 발신제한 추적을 하려는데 절차를 알려달라고 하시면 당신의 맞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지속적으로 걸려올 경우를 대비해서 대리점에 가시면 보안확인을 하신 후

알려달라고 하면 알려준다고 합니다.

문자인 경우에도 지우지 말고, 대리점에 가서 보여주고 본인확인절차를 거치시면 알려준다고 합니다.

단, 무작정 알려주는 것이 아니고 그 번호를 인해 피해를 입으셨을경우 에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다고 통화목록과 문자 저장한후 보여주면 되겠네요.


발신번호표시제한 수신거부

1.일반전화로 수신거부

해당 수신기(휴대폰)에 아예 못오게 하려면

*버튼을 누르고 68번 누르고 #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그럼 발신번호가 없는 번호는 수신거부 됩니다.

2.휴대폰으로 수신거부

휴대폰 통신사의 114에 전화해 상담원에게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방법은 전화기를 바꾸어도 발신번호 없이는 수신거부 할 수 있습니다.

또다른 방법은 당신이 사용하는 서비스 업체의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발신정보표시 제한전화 거부' 라는 서비스를 신청하면 되고 사용료가 없는 무료서비스입니다.

SK

T월드에 접속하신후 부가서비스>통화>통화필터링>익명수신거부 메뉴에 들어가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T

설정방법은 *버튼 누르시고 통화버튼 누르신 후 삐~ 응답음이 들리시면 종료

해제방법은 #240 누르시고 통화버튼을 누르신 후 삐~ 응답음을 확인하셨다면 종료

LGU

설정 *21통화버튼

해제 *210통화버튼

발신자 미표시 번호를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하는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단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해외에서 걸려오는 전화중 일부는 발신자 정보가 없이

오는 경우가 있어 받지 못할 수도 있음

출처

http://cafe.daum.net/9716112


Sunday, December 04, 2011

로켓스토브에 사로잡힌 그 분

https://cafe.daum.net/sumjingol/SPV7/75

올 겨울 감나무골엔 로켓스토브가 한 몫 단단히 하고 있다.

나무가스 화덕에 밥 짓고 오래 삶거나 끓여야 할 건 로켓스토브를 쓰고...

로켓스토브원리로 만든 난로를 로켓매스히터라고 한다는데

그 로켓매스히터를 집안으로 어떻게 들일까를 고민하느라 철님은 거의 폐인이 다 됐다.

로켓매스히터를 구들식 침대와 연결해 집안에 들이기로 했는데 연습이 필요하다.

집안에 들이는 로켓매스히터를 만들기 위해 내화벽돌(대용)을 샀다.

1400도까지 견딘다는 내화벽돌은 값도 비싸고 구하기가 힘들다해서 1200도까지 견딘다는 내화벽돌(대용)을 샀다.

눈 쌓여 얼어붙은 땅위에 벽돌로 굴뚝을 쌓는데...

어찌 어찌 불은 들이는데 영 시원치가 않다.

이튿날

밤새 고민했는지 아침이 되자마자 뛰쳐나간 철님 땅부터 판다.

바닥을 고르고 벽돌을 다시 쌓는다.

한 때 유행했던 테트리스 게임이 생각난다.

불 지피는 곳과 굴뚝을 넒혔다 좁혔다가 서로 멀리 했다가 가까이했다가...

해나 좀 퍼지고 하면 덜 추울텐데...

벽돌과 씨름하길 몇 시간 하더니 이번엔 불이 꽤 잘 들인다.

저 열기를 그냥 날려버리긴 너무 아깝다.

물을 끓일 수 있나 냄비를 올려봤다.

굴뚝이 높아 조금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끓는다. (굴뚝이라더니 그 위에 냄비를 올려놓고 끓인다!?)

날이 추워 깡통으로 만든 포켓스토브(나무난로)를 꺼내 불을 피웠다.

벽돌을 쌓아만든 로켓스토브에 올린 냄비엔 묵나물을 삶고

포켓스토브(나무난로)엔 고구마를 굽고 내친김에 나무가스화덕까지 꺼내 찻 주전자를 올렸다.

온 마당에 여러 형태의 로켓스토브들을 늘어놓고

감귤차와 군고구마를 먹으며 한 숨 돌리고 나니 해가 넘어간다.

세번째 날

역시나 햇살이 퍼질 때까지 못 기다리고 아침부터 마당에 나가 다시 바닥을 고르고 벽돌을 쌓는 그 분

이번엔 모양이 더 좋다.

불 때는 입구와 굴뚝의 크기와 높이, 간격이 모두 잘 맞았나보다.

조금 큰 솥을 올려봤는데 불도 잘 들이고 화력도 좋다.

내화벽돌을 쌓아 로켓스토브를 만드는 일은 이제 손에 익은 것 같다.

그래도 아직 그 분 머리 속엔 로켓매스히터에 대한 온갖 생각들이 날아다니고 있을게다.

그 생각들이 모여 어느날엔가 우리 방안에 구들식 로켓매스히터 침대가 만들어지겠지...

오늘 새벽까지 내린 비로인해 농장에 가도 할 일 없이 빈둥거리다가,

예전부터 시도해 보고 싶었던 로켓메스히터를 도전.....

내화벽돌을 사용해야 하지만, 촌이라 금방 구할 수도 없고, 아쉬운데로 전에 인도에 설치하는 벽돌을 얻어 놓은것으로 일단 시도해 봅니다.

우선 열기상승관만 조적이 완료되었지만, 새벽까지 내린 비로 주위의 나무들은 온통 젖어 있습니다.

젖은 나무라도 토치램프로 불을 붙이니, 불길을 잘 빨아올립니다.

열기상승관을 단열처리하면 더욱더 좋은 화력을 보여주리라 믿습니다.

Wednesday, November 30, 2011

행복을 찾는 108가지 마음

행복을 찾는 108가지 마음

1. 내가 아는 모든 생명을 깊이 공경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2. 스스로를 낮추어 자신에게 있는 나쁜 성품을 다스리며 절합니다.
3. 내 이익을 앞세우는 이기심을 내려놓으며 절합니다.
4. “나”와 “남”이 차별없이 소중하고 평등하다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5. 끊임없이 일어나는 욕심내는 마음을 절제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6. 화내고 성내는 마음을 있는대로 바라보며 인내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7. 몸과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여 스스로를 돌아보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8. 참된 자신을 찾고 내면의 성장을 위한 수행의 마음으로 절합니다.
9. 어리석은 마음을 거두고 지혜로운 마음 생기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10. 험난한 인생길 잘 참고 견뎌온 스스로를 칭찬하며 절합니다.
11. 나쁜 일을 멀리하고 착한 일을 가까이 한 스스로를 감사하며 절합니다.
12. 지금의 나를 있도록 해준 세상 모든 인연들에 감사하며 절합니다.
13. 부모님의 사랑은 끝이 없으니 그 크신 은혜에 절합니다.
14. 나를 이끌어 준 세상의 모든 스승들께 진실한 마음으로 절합니다.
15. 인생의 험난한 길을 동고동락한 친구의 동료들께 감사한 마음으로 절합니다.
16. 나를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게 한 조상님의 은혜에 절합니다.
17. 생명의 원천이 되는 공기와 물, 자연과 우주의 한없는 은혜에 절합니다.
18. 나의 지나친 욕심이 화를 부르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19. 사랑한다고 하면서 집착하고 괴롭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0. 내가 옳다는 교만심으로 다른 이와 대립하는 마음은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1. 욕심에 눈 어두워 다른 이에게 피해를 주고 있지 않은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2. 상대의 마음을 오해하여 나쁘게 받아들이는 성품은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3. 내 상각대로 하려는 마음 때문에 상처 준 사람은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4. 헛된 허영심으로 사치하는 일은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5. 아껴 쓸 수 있는데도 무심코 낭비하는 것은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6. 잘못된 행동을 하고도 합리화하는데 길들어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7. 쉽게 말하여 약속을 지키지 못한 일이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8. 지나간 과거에 집착해 스스로를 괴로움에 빠뜨리지 않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29. 오지도 않은 미래를 걱정하며 스스로를 속박하지 않나 돌아보며 절합니다.
30. 나 자신의 명예를 위해 타인의 명예를 짓밟은 일은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31. 긍정적인 마음보다 부정적인 요소들만 찾는 마음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32. 고난을 헤쳐 나가기보다 막연한 두려움에 사로잡힌 마음 없는지 돌아보며 절합니다.
33. 최선을 다할 때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는 믿음으로 절합니다.
34. 값진 보석과 같이 소중한 나 자신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35. 보답을 바라지 않는 마음으로 보시하며 살 것을 다짐하며 절합니다.
36. 삶에서 겪는 수많은 사건과 두려움은 잠시 머물다 가는 것을 알기에 절합니다.
37. 저의 하루는 날마다 좋은 날, 좋은 사람, 좋은 일로 펼쳐질 것을 믿으며 절합니다.
38. 뿌린 대로 거두는 것이니 좋은 씨앗을 뿌리는 사람 되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39. 저항하는 마음 버리고 내가 뿌린 것을 검허히 받아들이기 위해 절합니다.
40. 적은 것에 만족하며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최선을 다하기 위해 절합니다.
41. 열심히 일하고 정직하게 사는 삶에 만족하며 살기 위해 절합니다.
42. 아무리 사소한 약속이라도 어기지 않고 잘 지키기 위해 절합니다.
43. 남들이 비난하거나 멸시해도 진실된 길을 꿋꿋하게 나아가기 위해 절합니다.
44. 내 뜻과 맞지 않는 사람도 배격하지 않고 다정한 이웃으로 여기기 위해 절합니다.
45. 과거와 미래에 사로잡히지 않고 지금 이 순간 깨어있기 위해 절합니다.
46. 가족만을 향한 집착 대신 자비와 사랑의 마음 커지기 바라며 절합니다.
48. 오늘 할 일을 미루지 않고 순간마다 열정을 다하기 바라며 절합니다.
49. 시간을 헛되이 낭비하지 않고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다하기 바라며 절합니다.
50. 게으르지 않고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향해 끝까지 가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51. 내가 지은 잘못을 인정하고 변명하지 않는 사람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52. 어떤 문제라도 회피하지 않고 용기 있게 마주하는 사람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53. 익숙함에 안주하지 않고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사람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54. 잘못한 일은 즉시 ‘미안하다’고 사과하는 겸손한 마음 얻기 바라며 절합니다.

55. 삶의 순간순간 여유있게 웃을 수 있는 넉넉한 마음 커지기 바라며 절합니다.
56. 내가 만나는 사람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사람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57. 어려운 이웃을 돕는 기부에 성심껏 동참할 수 있기 바라며 절합니다.
58. 세상이 아무리 혼탁하고 어지러워도 초연하고 깨끗하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59. 역경이나 재난마저 행복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마음가지기 원하며 절합니다.
60. 바라는 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해도 절망하지 않기 바라며 절합니다.
61. 나에게 주어지는 과제들을 회피하지 않고 순리대로 받아들이기 원하며 절합니다.
62. 사람을 사귀는데 이익을 바라지 않고 의리와 겸손으로 사귀기 바라며 절합니다.
63. 억울함을 당해도 원망하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기회로 삼기 바라며 절합니다.
64. 몸에 병이 생기면 오히려 약으로 알아 반성하는 기회로 삼기 바라며 절합니다.
65. 미움과 질투의 감정 버리고 감사와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기 원하며 절합니다.
66. 허전한과 외로움의 감정에 물들지 않고 충만하고 기쁘게 살기 원하며 절합니다.
67. 불안과 공포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고요하고 평온하기를 원하며 절합니다.
68. 위기의 순간에도 자비의 마음 잃지 않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69. 뜻하지 않는 일을 겪게 되도 겸허히 수용하는 마음 생기기 바라며 절합니다.
70. 권력과 물질의 무상함을 깨달아 덧없는 일로 고통 받지 않기 바라며 절합니다.
71. 부드럽고 신중한 언행으로 타인의 삶에 도움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72. 인간관계에서 편견을 버리고 늘 새롭고 유익한 만남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73.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배려하며 함께 즐겁게 일할 수 있기 바라며 절합니다.
74. 어떤 곳에서도 잘 화합하며 세상을 원만하게 살아가기 바라며 절합니다.
75. 내 명예가 높아지는 것보다 다른 이익 이름이 더 빛나기 바라며 절합니다.
76. 내가 가진 능력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누군가와 나누기 바라며 절합니다.
77. 사랑하던 사람이 나를 떠나게 되어도 함께 했던 모든 시간에 감사하며 절합니다.
78. 집착하는 감정 버리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마음 갖기를 원하며 절합니다.
79. 나와 견해가 다른 사람의 말을 조용히 경청하기 바라며 절합니다.
80. 이웃과 대립하지 않고 배려와 조화로움 속에서 평화롭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81. 내려놓을 때가 왔을 때 놓은 줄 아는 지혜 생기기 바라며 절합니다.

82. 내 생명은 귀중한 것이니 함부로 대하거나 자책하지 않기 바라며 절합니다.
83. 대접받고 싶은 마음 버리고 어떤 자리에 가도 본분을 지키기 원하며 절합니다.
84. 언제나 부드러운 말로 평화를 주는 사람이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85. 어떤 나쁜 조건 속에서도 마음의 여유를 가지기 원하며 절합니다.
86. 화나는 일과 마주쳐도 거칠게 행동하지 않고 유연한 태도 갖기 원하며 절합니다.
87. 고난의 순간에 변명하거나 남의 탓을 하거나 비굴해지지 않기 바라며 절합니다.
88. 타인을 험담하지 않고 칭찬으로 격려하는 마음 갖기 원하며 절합니다.
89. 타인의 단점보다 장점을 세상에 드러내어 그 사람이 성공하기 바라며 절합니다.
90. 타인의 고통이 나의 고통임을 알아차려 타인의 행복을 기원하며 절합니다.
91. 타인의 실패와 성공에 함께 슬퍼하고 기뻐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92. 세상 모든 아픈 사람들이 질병에서 벗어나 자유롭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93. 길을 잃고 헤매는 이들이 바른 길 만나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94. 세상 모든 가난한 사람들이 궁핍에서 벗어나기 바라며 절합니다.
95. 세상 모든 존재들이 기아와 질병, 전쟁으로부터 해방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96. 세상 모든 사람들이 올바른 스승을 만나 큰 지혜 얻기 바라며 절합니다.
97. 세상 모든 사람들이 직장과 사회에서 좋은 지도자 만나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98. 세상 모든 사람들이 편안하고 화목한 가정을 이루기 바라며 절합니다.
99. 착한 일을 하려는 사람들의 원이 하루빨리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절합니다.
100.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이 직장을 얻어 성취와 보람 느낄 수 있기 바라며 절합니다.
101. 청소년들이 진정으로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길 찾기 바라며 절합니다.
102. 한 방울의 물에도 천지의 은혜가 담겨있으니 감사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103. 한 알의 곡식에도 만인의 노고가 담겨있으니 감사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104. 너와 나를 분리한 좁은 벽을 넘어 하나로 공명하는 넓은 마음에 절합니다.
105. 절하면서 느껴지는 충만하고 풍요로운 지금 이 순간에 감사하며 절합니다.
106. 내 안의 깊은 곳에서 빛나고 있는 참된 성품을 향해 절합니다.
107. 세상 모든 사람들의 내면에서 빛나고 있는 참된 본성을 향해 절합니다.
108. 지금 올린 108배가 모든 생명에게 지혜와 자유의 씨앗 되기 바라며 절합니다.

Sunday, November 27, 2011

김수로왕신화

금빛물결 2011.01.15 10:10 (퍼온곳)

생명존중 사상과 김수로왕 신화


1. 중국 후한(後漢)의 세조 광무제(世祖 光武帝) 건무(建武) 18년[AD42년] 임인 3월 상사일(上巳日)에 그들이 사는 곳의 북쪽에 있는 거북이 엎드린 형상을 한 산봉우리 구지(龜旨)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렸다. 구간과 마을 사람들 2, 3백 명이 거기에 모이니, 사람 소리 같기는 한데 그 모습은 보이지 않고 소리만 났다. “여기 누가 있느냐?󰡓 구간(九干)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이 여기 있습니다.󰡓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이냐?󰡓 󰡒여기는 구지입니다.󰡓 목소리가 또 말했다. 󰡒하늘이 나에게 명령하여 이곳에 와서 나라를 새로 세워 임금이 되라 하셨다. 그래서 내려왔노라. 그러니 너희들은 이 산 꼭대기 구지봉의 흙을 파 모으면서 󰡐거북아, 거북아 수로(首露)를 내놓아라. 만약 내놓지 않으면 구워 먹겠다󰡑 라고 노래하며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하늘에서 대왕을 맞이하여 너희들은 매우 기뻐서 춤추게 될 것이다.󰡓 구간들은 그 말을 따라 마을 사람과 함께 모두 기뻐하면서 노래하고 춤추었더니, 얼마 후 자색 줄이 하늘로부터 드리워져 땅에 닿는 것이었다. 줄 끝을 찾아보니 붉은 단이 붙은 보자기에 금합이 싸여 있었다. 구간 등이 그것을 열어보니 황금색 알이 여섯 개가 있는데 해처럼 밝게 빛나고 둥근 모습이었다. 여러 사람은 모두 놀랍기도 하고 기뻐서 함께 수없이 절했다. 조금 있다가 다시 보자기에 싸서 아도간의 집으로 돌아와 탁자 위에 모셔두고 무리들은 모두 흩어졌다.

알을 모셔온지 12일이 지난 그 다음날 아침에 마을 사람들이 다시 모여서 금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모두 어린아이로 변해 있었는데 용모가 덩실하니 컸으며, 이내 평상에 앉았다. 여러 사람들은 모두 삼가 절을 올리고는 극진히 공경했다.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자라서 십 수일이 지나니 키가 2미터가 훨씬 넘을 정도가 되었는데, 그 모습이 매우 장엄하고 엄숙하였다. 그 달 보름날에 왕위에 올랐는데, 세상에 처음 나타났다고 하여 이름을 수로(首露) 라 했다. 그리고 나라 이름은 대가락(大駕洛)이라 하거나 또 가야국(伽倻國)이라고도 했으니 곧 여섯 가야국 중의 하나다.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각 다섯 가야국으로 돌아가서 임금이 되었는데, 여섯 가야국은 동쪽은 황산강(黃山江) , 서남쪽은 창해(滄海), 서북쪽은 지리산(地理山), 동북쪽은 가야산(伽倻山)으로써 경계를 삼고, 남쪽이 나라의 끝이 되었다.

수로왕은 임시로 궁궐을 세우게 하여 거처했는데, 특히 질박하고 검소하여 짚의 이엉을 자르지 않았으며, 흙 계단은 겨우 석 자 정도의 크기로 지었다. 왕위에 오른 지 2년째가 되는 어느 날 봄 왕은 말했다. 󰡒내가 도읍을 정하려고 한다.󰡓 하고는 이내 임시 궁궐의 남쪽 신답평(新畓坪)에 가서 산악을 두루 바라보고 가까이 모시는 신하에게 말했다. 󰡒이 땅이 여뀌잎처럼 협소하기는 하나, 산천이 기이하게 빼어나니, 16나한이 살 만한 곳이오. 하물며 1에서 3을 이루고 3에서 7을 이루매 칠성(聖)이 살 곳으로도 적합한데, 이 땅에 의탁하여 강토(疆土)를 개척해서 마침내 좋은 곳이 될 수 있을 것이오.󰡓 하고는 곧 1천5백 보 둘레의 외성(外城)과 궁궐과 전당(殿堂) 및 여러 관청의 청사와 무고(武庫), 창고를 지을 장소를 마련한 후 일이 끝나자 궁궐로 돌아왔다.

나라 안의 장정․ 인부․ 공장(工匠)들을 널리 불러모아 그 달 정월 20일에 성곽 쌓기를 시작하니 3월에 이르러 역사가 일단 끝났다. 그리고 궁궐과 옥사(屋舍)는 농한기를 이용하여 지었으므로 그해 10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2월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다. 좋은 날을 가려 새 궁으로 옮아가서, 대정(大政)을 보살피고 서무(庶務)에도 부지런하였다.


완하국(琓夏國) 함달파왕의 부인이 임신한 후 달이 차서 알을 낳았는데, 알이 변하여 사람이 되었으므로 이름을 탈해(脫解)라 했다. 탈해가 바다를 따라 가락국으로 오니, 그의 키는 다섯 자였고 머리의 둘레는 한 자나 되었다. 흔연히 대궐에 나아가서 수로왕에게 말하였다. 󰡒나는 왕의 자리를 빼앗으러 왔소.󰡓 하니 왕이 대답하기를 󰡒하늘이 나에게 명하여 왕위에 오르게 했고, 나는 장차 나라 안을 안정시키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 한다. 나는 감히 천명(天命)을 어기어 왕위를 남에게 줄 수 없으며, 또 감히 우리 나라와 백성을 너에게 맡길 수도 없다.󰡓 탈해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기술(奇術)로써 승부를 결정하자.󰡓 󰡒좋다.󰡓 잠깐 사이에 탈해가 변해서 가 되니 왕은 변해서 독수리가 되었다. 또 탈해가 변해서 참새가 되니 왕은 변해서 새매가 되어서 참새를 잡았는데, 그 동안이 눈 깜박 할 사이였다. 얼마 후에 탈해가 본모습대로 돌아오니 왕도 또한 본모습으로 돌아왔는데, 탈해는 이에 엎드려 항복했다. 󰡒제가 기술을 다투는 장면에서 매가 독수리에게서, 참새가 새매에게서 죽음을 면함은 아마 성인께서 죽이기를 싫어하는 인덕(仁德)을 가지셨기 때문입니다. 제가 왕과 왕위를 다툰다 해도 이기기는 진실로 어렵겠습니다.󰡓 하고 탈해는 하직하고 나갔는데, 인교(麟郊) 변두리의 나루터에 이르러 중국 배가 와서 대는 뱃길을 따라 떠났다. 왕은 그가 이곳에 머물면서 반란을 꾸밀까 염려하여, 슬그머니 수군을 실은 배 5백 척을 보내어 급히 그를 쫓았다. 탈해가 계림의 영토 안으로 도망하니 수군은 모두 돌아왔다.


건무(建武) 24년 무신 7월 27일에 구간 등이 왕을 뵙고 말씀을 올렸다. 󰡒대왕께서 강림하신 후로 좋은 배필을 아직 얻지 못하셨습니다. 신들이 기른 처녀 중에서 가장 좋은 사람을 궁중에 뽑아 들여 왕비를 삼으시기 바랍니다.󰡓 이에 왕은 말했다. “내가 이곳에 내려옴은 하늘의 명령이다. 내게 짝지어 왕후로 삼게 함도 또한하늘이 명령할 것이니 그대들은 염려하지 말라.󰡓 하고는 드디어 유천간에게 명령하여 가벼운 배와 빠른 말을 주어 망산도(望山島)로 가서 서서 기다리게 하고, 또 신귀간에게 명령하여 승점(乘岾)으로 가서 기다리게 했다. 그랬더니 갑자기 한 척의 배가 바다의 서남쪽으로부터 붉은빛의 돛을 달고 붉은 기를 휘날리면서 북쪽으로 향하여 오는 것이었다. 유천간 등이 먼저 망산도 위에서 횃불을 올리니 배 안의 사람들이 앞다투어 육지에 내려서 뛰어왔다. 승점에 있던 신귀간이 이를 바라보고는 대궐로 달려와 그 사실을 아뢰니 이 말을 듣고 왕은 기뻐했다. 곧 구간 등을 보내어 귀빈의 예로 그들을 맞이하여 모시고 대궐로 들어가려고 하자 그 배 안에 탔던 왕후는 말했다. 󰡒나는 너희들과 본디 전혀 모르는 사이인데 어찌 경솔하게 따라가겠느냐?󰡓 유천간 등이 돌아가서 왕후의 말을 왕에게 전했다. 왕은 그 말을 옳게 여겨 유사(有司)를 거느리고 행차하여 대궐 아래로부터 서남쪽으로 60보 가량 되는 곳에 가서 산 변두리에 장막의 궁전을 설치하고 기다렸다. 왕후도 산 밖의 별포(別浦) 나루터에 배를 매고 육지로 올라와서 높은 언덕에서 쉬면서 자기가 입었던 비단바지를 벗어서 산신에게 폐백으로 바쳤다.

왕후를 시종(侍從)해온 신하 두 사람은 이름을 신보(申輔)․조광(趙匡)이라 했고, 그들의 아내 두 사람은 모정(慕貞)․ 모량(慕良)이라 했으며, 노비까지 합해서 20여 명이나 되었다. 또한 가지고 온 비단․ 능라와 옷․ 필단이며, 금· 은․ 주옥과 보석의 장신구 등은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왕후가 점점 수로왕이 계신 곳으로 다가가니 왕은 나와서 그녀를 맞이하여 함께 장막의 궁전에 들어갔다. 여러 사람들은 섬돌 아래로 나아가서 임금을 뵙고 즉시 물러갔다. 왕은 유사에게 명령하여 왕후의 신하 두 부부를 인도하게 하며 말했다. 󰡒잉신은 사람마다 각방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하의 노비들은 한 방에 대여섯 명씩 있게 하라.󰡓 왕은 그들에게 난초로 만든 음료와 혜초(蕙草)로 만든 술을 주었다. 무늬와 채색이 있는 자리에 재웠으며, 의복․필단․보화도 주었다. 그리고 군인들을 많이 모아서 그들을 지키게 했다. 이에 왕은 왕후와 함께 침전에 있는데, 왕후가 조용히 왕에게 말했다. 󰡒저는 아유타국(阿踰國)의 공주입니다. 성은 (許)라 하고 이름은 황옥(黃玉)이며 나이는 열여섯 살입니다. 본국에 있을 때 올 5월달에 부왕(父王)과 모후(母后)께서 제게 말씀하시기를 󰡐우리 내외가 어젯밤 꿈에 함께 하늘의 상제(上帝)를 뵈었는데, 상제께서 말씀하시기를 가락국 수로왕은 하늘이 내려보내 왕위에 오르게 했으니 신성한 분이다. 또 새로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아직 배필을 정하지 못했으니, 그대들은 공주를 보내어 배필을 삼게 하라󰡑 하시고 말을 마치자 하늘로 올라가셨다고 했습니다. 꿈에서 깨어난 뒤에도 상제의 말씀이 귀에 쟁쟁하니 󰡐너는 이 자리에서 곧 부모와 작별하고 그곳 가락국을 향해 떠나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바다에 떠서 오랜 시간을 헤맨 끝에 지금 아름다운 모습으로 용안(龍顔) 을 가까이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왕은 말했다. 󰡒나는 나면서부터 자못 신성하여 공주가 먼 곳으로부터 올 것을 먼저 알았으므로 신하들에게서 왕비를 맞이하자는 청이 있었으나 굳이 듣지 않았소. 이제 현숙한 그대가 스스로 왔으니 이 사람으로서는 매우 다행한 일이오.󰡓 하고 드디어 혼인하여 이틀 밤과 하루 낮을 지냈다.

이에 그들이 타고 왔던 배는 돌려보냈다. 뱃사공은 모두 열 다섯 명이었는데, 각각 쌀 열 섬과 베 서른 필을 주어 본국으로 돌아가게 했다. 8월 1일에 왕은 대궐로 돌아오는데, 왕후와 함께 수레를 타고 왕후의 신하 부부도 나란히 수레를 탔다. 왕후가 싣고 온 각종 물품도 모두 실어 천천히 대궐로 들어오니 정오가 되려 했다. 왕후는 중궁(中宮)에 거처하게 하고 신하 부부와 그들의 노비들에게는 비어 있는 두 집을 주어 나누어 살게 했다. 나머지 종자들에게도 스무 칸이 넘는 객관 한 채를 주어 사람 수를 보아 적당히 나누어 있게 하고 쓰는 물품에 지장이 없도록 했다. 그리고 그들이 싣고 온 진귀한 보물은 내고(內庫)에 간직해두어 왕후의 개인 비용으로 쓰게 했다.

왕이 왕후와 함께 하는 삶을 비유하면 마치 하늘에 대하여 땅이 있고, 해에 대하여 달이 있고, 양에 대하여 음이 있음과 같음이라. 그 내조의 공은 이루 말로 다할 수가 없었다. 그해 왕후는 곰의 몽조(夢兆)를 얻어 태자거등공(居登公)을 낳았다. 그 후 오랜 동안 수로왕을 내조하다가 왕후가 세상을 떠나니 나이가 백쉰일곱 살이었다. 나라 사람들은 마치 땅이 무너진 것처럼 슬퍼하고, 구지봉 동북쪽 언덕에 장사지냈으며 백성을 사랑하던 왕후의 은혜를 잊지 않으려고, 왕후가 처음 배에서 내려 닻을 내린 나루터 마을을 주포촌(主浦村)이라 하였고, 또한 비단 바지를 벗었던 산등성이를 능현(綾峴)이라 하고, 붉은 깃발이 들어왔던 해변을 기출변(旗出邊)이라고 했다.


2. 탐라의 건국신화가 마이크로 세계에 대한 신화라고 한다면, 김수로왕 신화는 매크로세계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거대세계를 지향하는 매크로신화의 중심은 하늘이다. 하늘에서 모든 것이 이루어지고 하늘에서 모든 것이 내려오는 종류의 것을 매크로 신화라고 할 수 있다. 하늘은 天(천)이라는 한자를 쓰고 있는데, 글자의 뜻으로 본다면 天은 大(대)자에 한 획을 더한 것이다. 하늘이란 의미가 신화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하늘에서 신이 내려와서 인간을 지배하고 나라를 세운 왕의 이야기인 건국신화의 의미를 더 잘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김수로왕 신화는 하늘에서 “여기가 어디냐”라는 소리가 들린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러자 주변에 있던 사람들이 이곳을 구지라고 했다. 구(龜)라는 것은 거북을 가리키는데, 구지는 바로 거북의 모가지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아홉 추장들과 수 백 명의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자리에서 목소리는 말한다. “내가 하늘에서 내려와 너희들을 통치할 것이니, 너희들은 흙을 파 모으면서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만약에 내밀지 않는다면 불로 구워서 먹겠다’는 노래를 부르면 신령스러운 지도자가 내려와 기쁘게 춤을 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바로노래이고, 노래 중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거북이 머리와 머리를 굽는 수단으로서의 이다.

거북은 신령스런 동물로 여겨졌는데, 그 머리가 남성의 성기를 닮았다고 고대인들은 생각했다. 남성의 성기 끝을 귀두(龜頭)라 부르는 데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북에게 머리를 내어라 라고 하는 것은 새로운 생명을 얻기 위해서 여성이 남성을 유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에 그것을 내밀지 않으면 불로 구워서 먹겠다는 것이다. 생명의 원천인 남성을 받아들일 때만 여성은 생명을 탄생시킬 씨앗을 가지게 되는 것이니, 이 말의 의미는 바로 여성이 남성을 유혹하는 것이라 하겠다. 삼성혈신화에서는 네 개의 구멍이 생기면서 불이 나온다고 했다. 생명탄생의 근원을 가지고 있는 은 가장 낮은 곳에서 시작해 모든 것을 태워서 높은 곳까지 올라와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생명을 키워서 세상으로 내보내는 것의 원천은 여성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여성이 씨앗을 받기 위해 남성을 받아들여야 하는데, 그것을 재촉하는 것이 바로 거북을 불러서 머리를 내밀라고 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거북이 더러 머리를 내밀라고 하는 노래는 성 상징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불의 의미에 대하여 좀 더 면밀하게 따져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불은 작은 곳에서 나와 온 세상을 태워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없으면 새로운 것은 만들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불은 낮은 곳에서 일어나 높은 곳으로 올라가 완성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불은 지구의 가장 깊고 은밀한 곳에 존재하는데, 가장 낮은 곳에 있지만 일단 사물을 태우게 되면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된다. 뜨거운 것은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자연의 이치에 따른 것이지만 태워진 사물은 불에 의해 녹아서 다른 것으로 새롭게 태어난 다음 높은 곳으로 올라가 또 다른 사물을 만들 수 있는 소우주인 종자로 완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은 미약하고 낮지만 나중에는 아주 강하고 높은 곳에 위치하는 존재가 되고 마는 것이다. 그러나 낮은 곳에서 시작하는 불은 그 씨앗은 역시 하늘에서 받는 것이니 공기의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생겨나는 벼락이 바로 불의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은 하늘로부터 씨를 받아 깊고 깊은 곳에서 생긴 다음, 하늘로 올라가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불의 이런 성격 때문에 문학에서 불은 흔히 여성으로 비유된다. 무엇인가를 죽여서 태움으로써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불의 성질과 남성을 받아들여 그것을 죽임으로써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여성은 여러 면에서 닮아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성의 중심은 바로 불과 같다. 작은 우주인 여성의 성기에 거북이 머리처럼 생긴 남성의 성기가 들어가서 죽어야만 새로운 생명체가 나온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수로왕신화에서 불려진 노래의 핵심적인 의미는 바로 성상징이다.

남성의 상징인 거북의 머리와 여성의 상징인 불이 만나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행위가 바로 성적인 행위이고 하늘에서 왕의 씨를 받으려는 사람들의 기원이 이러한 노래의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그렇다면 생명은 무엇인가? 생명의 씨앗은 작지만 그것은 하나의 독립적인 우주와 같다. 생명의 씨앗 속에 그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자질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참새의 알에서는 참새만 나오고, 닭의 알에서는 병아리만 나오게 되는 것이다. 참새의 알속에는 참새의 우주가 녹아있고, 닭의 알속에는 닭의 우주가 녹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명의 우주는 바로 성행위를 통해서 만들어지는데 이는 생명의 탄생을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고대인들이 생각했던 가장 신성한 우주인 알의 형태를 빌어서 수로왕은 내려왔던 것이다. 이제 이러한 의미를 지니는 수로왕 탄생의 이야기가 현대의 우리들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3. 첫째, 하늘과 백성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하도록 한다.

고대의 왕은 하늘의 아들이라 일컬었다. 그러므로 왕은 신성한 존재였다. 이것은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절대왕권국가가 성립했던 곳은 모두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만큼 왕은 절대권력과 신성성을 가지고 있는 존재였다. 하늘은 높은 곳에 있으며 신성하기 때문에 그것으로부터 받은 권력 역시 신성하다고 여겨 아무도 침범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래서 지금도 우리는 말하기를 통치자는 하늘이 낸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왕은 하늘에서 권력을 받으며, 하늘의 아들로써 사람을 통치하는 존재가 된다. 수로왕이 배필을 찾지 못하자 9명의 부족장들이 자신의 딸 중에서 왕비를 고르라고 했지만, 수로왕은 말하기를 ‘나는 하늘에서 내려왔기 때문에 하늘이 배필을 정해줄 것이’고 하였다. 인도에서 온 허황옥은 16살의 처녀로 넓고 넓은 태평양을 건너 수로왕에게 왔는데, 바로 하늘의 지시에 의한 것이었다.

이처럼 하늘은 무한하게 높고 넓어서 끝이 없는 존재이지만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 문화권에서는 하늘의 무한함을 한정시켜 놓은 의미가 강해서 주목을 요한다. 위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무한하게 크다는 의미를 지닌 대(大)의 위를 막아서 하늘이라 했으니, 하늘은 한없이 높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 무엇인가에 의해서 한정된다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늘을 이렇게 한정시켜 놓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렇게 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하늘이 무한정 높은 것이 아니라 일정한 어떤 것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힘을 모두 하늘에서 받았으니 왕은 자신의 아버지인 하늘을 지극히 받들고 모셔야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보면 동양에서 생각하는 하늘이라는 것은 끝이 없는 것을 막아서 유한하게 만듦으로써 무한한 인간의 상상력을 한정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늘이 높고 신성하기는 하지만 무한정으로 높고 신성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것이 바로 이런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하늘을 한정시킨 목적은 왕의 권한을 일정 부분에서 묶어두어야 한다는 필연성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왕은 태생적으로 부여받은 절대권력 때문에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는 생사여탈권(生死與奪權)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을 마구 휘두를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왕의 권력을 일정하게 제한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왕은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하늘이 지켜보고 있는 상태에서 그것을 수행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가지게 된다.

그렇다면 일정한 것으로 한정된 하늘은 이제 어떤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일까? 하늘은 높은 곳에 있으면서 생명의 근본이 되는 모든 것을 땅으로 내려준다. 그러므로 생명의 근원은 하늘에 있다. 그런데, 하늘은 높은 곳을 지향하기 때문에 언제나 위로 올라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게되는데, 끝없이 높은 하늘이란 말이 바로 그런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곳을 지향하는 하늘이 높은 곳에만 있으면서 더 높은 곳으로만 올라가게 되면 낮은 곳에 있는 땅과 만날 수가 없게 되고 그렇게 되면 아무 것도 이룰 수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늘은 높음과 동시에 낮은 곳에도 있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땅은 낮은 곳을 향하며 낮은 곳에 있어야만 무엇인가를 이루어낼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땅이 낮은 곳에만 있으면 높은 곳에 있는 하늘과 만날 수 없기 때문에 역시 아무 것도 이룰 수가 없게 된다.

결국 하늘은 낮은 곳에서 시작하여 높은 곳으로 올라가야만 하고, 땅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와야만 이 둘이 만나 우주의 모든 것을 이루어낸다는 명제가 성립하게 된다. 이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 다르지만 하늘의 의미를 한정시킨 고대의 지식인들은 이런 의미를 이미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 하늘은 가장 높고 신성한 존재임과 동시에 가장 낮고 세속적인 존재라는 이중성을 가지게 되는데, 절대권력을 가지는 왕을 하늘의 아들이라고 하는 것 역시 이러한 두 가지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하늘의 아들로 신성함과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함부로 권력을 휘두르거나 나쁜 짓을 해서는 안돼는 존재가 바로 왕이라는 것이다. 즉, 왕은 모든 땅위의 모든 사람들 위에 군림하지만 동시에 자신을 보내준 하늘의 감시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

끝이 없을 정도로 무한한 하늘을 신성한 존재가 사는 곳으로 한정시킨 의도가 바로 여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하늘이 무한정으로 높기만 하면, 그것으로부터 권력을 받은 왕은 그야말로 마음대로 절대권력을 휘두르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하나의 국가가 제대로 지탱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이런 점을 두려워한 위정자들은 높고 신성한 것으로 하늘을 설정함과 동시에 가장 낮은 것으로도 설정하여 신성성(神聖性)과 세속성(世俗性)을 함께 가지도록 했던 것이다. 여기에서는 왕이 세속성을 가져야한다는 의미가 과연 무엇일까 하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왕이 신성하면서도 세속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전제시대의 왕들이 지녔던 절대권력이나 나아가서는 현대의 통치자들이 갖는 권력들은 모두 백성에게서 나온다는 사실을 일깨우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민심을 얻지 못하면 나라를 지탱할 수 없다는 말에서 이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민심은 곧 천심이란 말 역시 이런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말이 아닐 수 없다. 권력자가 휘두르는 폭압이나 권력 앞에 백성들은 물리적으로는 어쩔 수 없이 복종할지 모르지만 마음까지 그럴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독재와 폭력이 계속될 경우 종국에는 그러한 백성들에 의해 나라를 뒤엎을 수밖에 없다는 만고불변의 진리가 바로 하늘이 갖는 이중적 의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백성을 다스리는 통치자들은 자신이 가진 권력이나 명예 등이 하늘에서 받은 것이기는 하지만 하늘의 근본이 바로 백성이란 생각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될 것으로 생각된다. 통치자나 권력자가 그것을 잊어버리는 순간 천길 낭떠러지로 추락하여 다시는 세상으로 돌아오지 못할 것이란 사실을 김수로왕신화는 우리에게 이야기하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 해상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수로왕신화에서 김수로왕이 한 말 중에 “이 땅이 여뀌잎처럼 협소하기는 하나, 산천이 기이하게 빼어나니 16나한이 살 만한 곳이오. 하물며 1에서 3을 이루고 3에서 7을 이루매 칠성(聖)이 살 곳으로도 적합한데, 이 땅에 의탁하여 강토(疆土)를 개척해서 마침내 좋은 곳이 될 수 있을 것이오󰡓 라고 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수로왕이 한 이 말뜻은 가야국의 땅이 비록 좁으나 산천이 기이한데다가 바다와 맞닿아 있어서 멀고 먼 해외 나라인 인도의 16나한이 살만한 곳이며, 하나에서 시작하지만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곳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땅은 좁은데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은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과 연결시켜 이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현재의 우리 나라는 나라 경제의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와 해결하고 있는 에너지 부족국가로 해외 무역을 통하지 않으면 우리들의 삶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고 무역전쟁 역시 치열해질 것이라는 것이다. 일찍부터 바다에 눈을 돌려 나라의 힘을 키워나갔던 수로왕의 지혜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때가 바로 지금이라는 것이다. 땅이 좁지만 많은 것을 이룰 수가 있다고 한 것은 바로 해상무역을 통해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고 하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현대 사회는 교통 수단이 여러 가지로 발달하여 비행기나 육로로도 소통이 이루어지지만, 그래도 해외와의 물류소통은 아직도 바다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그러한 사정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로왕이 해상무역을 통해 많은 것을 얻었던 것과 같이 현재나 미래의 우리들 역시 수로왕이 했던 방식대로 해상무역에 많은 힘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바다가 우리에게 더욱 중요하게 다가오는 것은 어쩌면 미래의 우리 생활은 거의 모든 것을 바다에서 얻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소량일 때는 약하고 한없이 부드럽지만 그것이 모이면 엄청난 힘을 가지는 물의 성질 때문에 바다는 사상을 초월하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땅속에서 어렵잖게 얻는 석유 에너지가 고갈되면 머지 않아 바다의 에너지에 의존해야할 시대가 올 것이 거의 확실하다. 그 뿐만 아니라 공기가 오염되어 육지의 생물들이 살지 못하게 되면 바다에서 만들어지는 산소를 마시고 그곳에서 만들어지는 생물을 주식으로 할 날이 그리 멀지 않은 미래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바다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육지의 공기가 심하게 오염되어 있다는 것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이미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새벽이나 아침에는 창문을 열지 말 것이며 운동도 될 수 있으면 아침에는 하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는 현실이 바로 공기의 오염도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어렸을 적에 학교에 가서 처음 글을 배울 때만해도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방문을 활짝 열고 맑고 상쾌한 공기를 마시면서 하루를 시작하자던 말이 교과서에 쓰여 있었으나 이제는 죽은 말로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만 것이다. 필자는 건강을 위해 아침 일찍 서울의 북쪽에 있는 불암산에 올라가는 일을 10년 넘게 하고 있는데, 산에 올라가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아주 끔찍하다는 생각을 늘 하곤 한다. 산에서 내려다보면 상계동에서 의정부로 가는 골짜기를 따라 15층 아파트 정도의 높이에 시커먼 공기 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차량과 아파트 등에서 밤새 뿜어 나온 매연이 멀리 흩어지지 않아서 생긴 오염띠인 것이다. 그런 띠를 보고 있노라면 그 속으로 다시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 얼마나 끔찍한 일인가를 새삼 실감하게 되는 것이다. 공기의 오염이 앞으로 더 심각하게 되고 자원마저 고갈되면 우주상에 있는 다른 행성을 개척하여 그곳으로 옮겨간다는 것은 꿈같은 이야기도 있지만 필자의 생각엔 결국 사람들은 육지를 버리고 바다 속으로 들어간 다음 그곳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상태로 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거기다가 지구의 온난화로 온도가 높아지면서 북극과 남극의 만년빙하가 점점 녹아 육지의 대부분을 덮어버리고 남은 땅은 얼마 되지 않을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에 바다와 해상통로의 중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물은 많은 것들을 녹여서 포함하고 있으면서 만물을 키워내는 생명의 어머니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물에서 떠날 수 없을 것이다. 물은 매우 소중한 존재이고 앞으로도 점점 우리에게 그 의미가 커질 것이며 동시에 나빠지기도 할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소중하게 여기고 잘 활용하는 것에 우리의 미래가 걸렸음은 거의 확실하다하겠다. 결국은 우리는 바다로 갈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이미 오래 전에 바다의 중요성을 이야기한 김수로왕신화가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불교의 남방 전래설을 추정하게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우리 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중국을 거쳐 한반도의 북방인 고구려를 통해 들어온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여러 기록들과 유적들을 면밀하게 검토해보면 북방전래설 보다 남방전래설이 더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 증거를 발견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기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는 기록 보다 시기적으로 오래된 가야에 불교가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 둘째, 가야는 활동범위가 매우 넓었던 해상왕국이어서 인도와 직접 교통이 가능했을 지도 모른다는 점. 셋째, 가야의 유적들을 보면 불교와 관련된 것들이 상당수 있는데, 가야의 경우는 북방과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남방을 통해 불교가 들어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등이다. 가야의 건국신화인 수로왕신화에 이미 불교에 대한 언급이 여러 군데 나오는데다가 영토는 좁았지만 바다를 무대로 하는 무역을 통해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었다는 사실이 있으며, 중국의 남방이나 인도와 직접 교통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가야 시대에 이미 인도의 불교가 어떤 방식으로든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이 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여러 유적들과 문헌들에 나타나는 기록들을 볼 수 있다. 우선, 김해지방에 있는 신어산 은하사, 명월사, 장유암, 만어사, 지리산 칠불암 등 사찰 유적과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분묘․ 토기 등 유적들에서 불교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야의 불교 관련 설화, 아유타국의 상징인 쌍어문 관련 설화, 해신을 노여움을 달래기 위해 인도에서 싣고 왔다는 파사석탑 이야기, 󰡔삼국유사(三國遺事)󰡕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등장하는 허왕옥에 대한 이야기 및 수로왕이 말한 16나한 7성(聖) 등에 대한 기록, 중국의 문헌인 󰡔남제서(南齊書)󰡕 열전의 「가락국전(駕洛國傳)」에 보이는 중국 남방과 가야의 수교 가능성, 삼국유사 「어산불영(魚山佛影)」의 만어산(萬魚山) 설화, 가야와 아유타국의 관계, 남해안을 따라 형성된 석굴암의 흔적들 등은 모두 불교의 남방전래설과 가야와 중국, 가야와 인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아직까지 그 정체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파사석탑의 경우 허황옥이 중국의 남쪽지방에 머물던 사람이라 하더라도 인도에서 가져온 것이 확실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아유타국의 공주로서 여러 사람을 거느리고 왔던 허황옥이 불교를 가지고 들어왔을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구나 남북국시대의 역사기록인 󰡔남제서󰡕에 이미 가락국전이 보이고 있는 점으로 보아 그 당시 가야는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여러 나라에 잘 알려진 해상왕국임에 틀림없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남 밀양에 있는 만어산에는 수로왕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와 증거물이 전해지고 있어서 이것 또한 불교의 전래를 점칠 수 있게 한다. 지금의 경남 양산 지역에 옥지(玉池)라는 연못이 있었는데, 여기에 사는 사악한독룡(毒龍)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그리고, 만어산에는 하늘을 날아다니며 사람을 잡아먹는 다섯 악귀(惡鬼)가 살고 있었다고 한다. 이 둘은 서로 떨어진 곳에 살았지만 온갖 못된 짓을 했는데, 독룡과 악귀가 서로 사귀면서 사랑을 했다고 한다. 이 두 신물의 사랑이 얼마나 격렬했던지 하늘에는 천둥과 번개가 치면서 불비가 내렸고 그것 때문에 농민들의 피해가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백성들의 고통이 갈수록 심해지자 가락국의 수로왕이 주술로 그들의 악행을 막아 보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할 수 없이 부처님께 설법을 청하여 이들에게 불법(佛法)의 오계(五戒)를 받게 하였다. 이때 동해에 있던 수많은 고기와 용(龍)들도 불법의 감화를 받아 이 산중에 모여들어 설법을 들었는데 그 후 물고기들은 동해로 돌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돌이 되어 모두 하늘을 쳐다본 모양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 역시 수로왕과 관련된 것으로 이미 가야 때에 불교의 법력이 백성들의 교화에 쓰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가야의 수로왕시대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불교의 남방전래설을 점칠 수 있게 해주는 증거 중에 석굴문화가 있다. 석굴문화는 인도에서 시작하여 중국의 서방을 거쳐 북방으로 전래되었으나 우리 나라는 그와 반대로 한반도의 남방에서 조성되었다는 특징을 갖는다. 한반도의 남쪽 끝 부분을 따라 석굴문화가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 역시 정확한 연대 추정은 불가능하지만 한반도의 북방을 통해 중국에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한반도의 북방에는 석굴문화가 전혀 보이지 않고 가야와 백제, 신라 등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경남 곤양의 다솔사 석굴, 경주 토함산의 석굴암, 경북 군위의 미륵삼존석굴 등은 시기상으로는 서로 다르지만 모두 한반도의 남쪽에 있다는 점에서 불교의 남방전래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별로 틀리지 않을 것이다. 경주 토함산 꼭대기의 동쪽에 있는 석굴암은 석실의 형태를 갖춘 암자로 신라 불교예술의 최고 경지를 보여주고 있으나, 그에 대한 기록은 아주 미미하여 기원과 축조 연대 등에 대해서조차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가 없다.

다만 다음과 같은 설화가 삼국유사에 전해올 뿐이다. '경주 모량리에 사는 가난한 여인의 아들로 태어나서 어렵게 살던 대성이란 아이는 일을 하고 돌아오던 어느 날 "하나를 시주하면 나중에 만 배로 돌려 받는다"는 승려의 말을 듣고 현재 자신이 가난하게 사는 것은 보시를 하지 않은 탓이 라고 생각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던 얼마 안 되는 밭을 시주로 바친 후 곧바로 죽는다. 하늘 의 계시를 받고 다시 재상의 아들로 태어나 유복하게 살았던 대성은 사냥할 때 죽인 곰을 위해 장수사라는 절을 지었고, 부모를 위해서는 불국사석굴암을 지었다고 한다. 이 석굴암의 의미와 조성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을 수 있으나 석굴의 본존불이 춘분· 추분 때 해가 떠오르는 정동(正東)을 향해 있다는 사실로 볼 때 태양숭배 의식의 토착사상과 불교의 윤회사상이 합해진 석굴문화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불교의 남방전래설은 아직까지는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김수로왕신화는 우리들에게 매우 소중한 것들을 일깨워주고 있다. 백성이 모든 힘의 근본이라는 것과 앞으로 우리가 나가야할 방향이 바다에 있다는 것을 선험적으로 알려주고 있으며, 가야가 얼마나 넓은 범위의 활동무대를 가지고 있었는가를 허황옥과 불교의 남방 전래 가능성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김수로왕 신화에서 나타나고 있는 선조들의 이러한 지혜와 영광을 잘 살려서 미래의 우리 민족이 도약할 수 있는 힘과 계기를 얻어야할 것이다.